Academic Journal

쌍태아에서 미숙아망막병증의 발생율과 위험인자 ; Incidence and Risk Factors of Retinopathy of Prematurity in Premature Twins

التفاصيل البيبلوغرافية
العنوان: 쌍태아에서 미숙아망막병증의 발생율과 위험인자 ; Incidence and Risk Factors of Retinopathy of Prematurity in Premature Twins
المؤلفون: 오주연, 김성준, 유영석, 최중환
المساهمون: 오주연, 김성준, 유영석, 최중환
بيانات النشر: 대한안과학회
سنة النشر: 2023
المجموعة: Seoul National University: S-Space
مصطلحات موضوعية: Discordant ROP, Multiple-gestation pregnancies, Retinopathy of prematurity, ROP, Twins
الوصف: 목적 : 쌍태아에서 미숙아망막병증의 발생율과 위험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 2000년에서 2002년까지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한, 재태기간 37주 미만의 쌍태아 77쌍, 154명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미숙아망막병증의 발생율을 알아보았고, 미숙아망막병증이 발생한 군과 그렇지 않은 군 간의 임상요소를 비교하였다. 쌍태아 중 한명은 미숙아망막병증에 이환되고 한명은 이환되지 않은 군 혹은 둘다 이환되었는데 병기가 2기 이상 차이나는 군에서 쌍태아 간의 임상요소를 비교하였다. 결과 : 43.5%에서 미숙아망막병증이 발생하였다. 출생체중, 기계적 환기용법의 기간, 산소치료기간, 고탄산혈증, 동맥관개존증, 기관지폐이형성증, 신생아호흡곤란증후군이 미숙아망막병증의 발생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졌다(p<0.05). 쌍태아간 미숙아망막병증의 발생과 병기에 차이가 있는 경우를 분석하였을 때 출생체중만이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결론 : 쌍태아에서 미숙아망막병증의 발생율과 위험인자는 단태아의 경우와 다르지 않으며 출생체중이 쌍태아간 미숙아망막병증의 발생과 중증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 N ; 2
نوع الوثيقة: article in journal/newspaper
اللغة: unknown
تدمد: 0378-6471
Relation: 대한안과학회지, Vol.45 No.2, pp.259-265; https://hdl.handle.net/10371/191710; 181629; ART000945042
الاتاحة: https://hdl.handle.net/10371/191710
رقم الانضمام: edsbas.E071AA25
قاعدة البيانات: BA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