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ssertation/ Thesis
Characteristics and outcomes of L- shaped and reverse L- shaped rotator cuff tears ; L자형 및 역L자형 회전근 개 파열의 특징 및 결과
العنوان: | Characteristics and outcomes of L- shaped and reverse L- shaped rotator cuff tears ; L자형 및 역L자형 회전근 개 파열의 특징 및 결과 |
---|---|
المؤلفون: | 이경재 |
المساهمون: | 김세훈, Kyung Jae Lee, 의과대학 의학과, 정형외과학 |
بيانات النشر: | 서울대학교 대학원 |
سنة النشر: | 2023 |
المجموعة: | Seoul National University: S-Space |
مصطلحات موضوعية: | L-shaped, reverse L-shaped, rotator cuff tear, clinical outcome |
Time: | 610 |
الوصف: |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의과대학 의학과, 2023. 8. 김세훈. ;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L자형 회전근 개 파열과 역L자형 회전근 개 파열의 특성과 그 임상적 결과를 비교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 본 연구에는 관절경하 회전근 개 복원술 수술을 시행받은 총 82개의 어깨(81명)가 후향적으로 등록되었다. 환자들의 평균 연령은 62세(표준편차 6)였으며, 33개의 어깨(40.2%)가 남자였고, 57개의 어깨(69.5%)가 오른쪽 어깨였다. 이 중 36개는 L자형 회전근 개 파열(L 그룹)이었고, 나머지 46개가 역L자형 회전근 개 파열(RL 그룹)이었다. 두 그룹의 특성, 수술 전후 통증 및 기능적 결과를 비교했다. 회전근 개 근육의 상태는 수술 전 MRI 검사를 통해 평가했고, 수술 후 초음파 또는 MRI 검사로 재파열율을 평가했다. 결과: RL 그룹의 환자는 L 그룹의 환자보다 유의하게 나이가 많았고(p=0.008), RL 그룹은 여성 성별과 유의하게 관련이 있었다(OR 2.5, p=0.041). RL 그룹의 평균 수술 후 VAS 점수가 L 그룹보다 유의하게 높았고(L 그룹=0.8, RL 그룹=1.7, p=0.033), 평균 수술 후 ASES 점수는 RL 그룹이 유의하게 낮았다(L 그룹=91.4, RL 그룹=83.8, p=0.028). 그러나, RL 그룹의 수술 후 VAS 점수와 ASES 점수는 수술 후 환자 만족도 점수보다 낮지 않았다. 파열의 ML 크기는 L 그룹이 유의하게 컸다(L 그룹=24.6mm, RL 그룹=20.0mm, p=0.003). 전체 재파열율은 11.0%(9개의 어깨)였으며, L 그룹과 RL 그룹의 재파열율은 각각 11.1%(4개) 와 10.9%(5개)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1.000). 회전근 개 근육의 지방 변성 또는 위축에 대한 두 그룹 간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L 그룹의 극상건 근육과 견갑하건 근육의 수술 후 지방 변성 정도는 유의하게 악화되었다(p=0.034, p=0.008). 평균 수술 후 VAS 점수 및 ASES 점수는 남성과 여성 사이가 차이는 없었다(p=0.700, p=0.475). 회귀 분석 결과, 연령은 수술 후 VAS 점수 또는 ASES 점수의 예후 인자가 아니었다(p=0.188, p=0.150). 결론: 고령 및 여성 성별은 역L자형 회전근 개 파열과 연관이 있었다. 역L자형 회전근 개 파열 환자의 수술 후 임상적 결과에 대해 환자들은 만족했지만, L자형 회전근 개 파열 환자에 비해 좋지 않았다. 따라서 외과의는 L자형 회전근 개 파열과 역L자형 회전근 개 파열 사이의 임상적 결과의 차이를 알아야 한다. ; Aim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and outcomes of L- shaped and reverse L- shaped rotator cuff tears. Methods A total of 82 shoulders (81 patients) after arthroscopic rotator cuff repair were retrospectively enrolled.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62 years (SD 6), 33 shoulders (40.2%) were in male patients, and 57 shoulders (69.5%) were the right shoulder. Of these, 36 shoulders had an L- shaped tear (group L) and 46 had a reverse L- shaped tear (group RL). Both groups were compared regarding characteristics, pre- and postoperative pain, and functional outcomes. Muscle status was assessed by preoperative MRI, and retear rates by postoperative ultrasonography or MRI. Results Patients in group RL were ... |
نوع الوثيقة: | doctoral or postdoctoral thesis |
اللغة: | English |
ردمك: | 978-0-00-000178-8 978-0-00-000000-2 0-00-000178-3 0-00-000000-0 |
Relation: | 000000178376; https://hdl.handle.net/10371/197117;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8376; I804:11032-000000178376; 000000000050▲000000000058▲000000178376▲ |
الاتاحة: | https://hdl.handle.net/10371/197117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8376 |
رقم الانضمام: | edsbas.5FF31CE8 |
قاعدة البيانات: | BASE |
ردمك: | 9780000001788 9780000000002 0000001783 000000000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