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roblem of Korean Suicide and Confucian Thoughts

التفاصيل البيبلوغرافية
العنوان: The Problem of Korean Suicide and Confucian Thoughts
المؤلفون: YoungKyung Lee
المصدر: Journal of Koreanology.
بيانات النشر: Korean Studies Institute, 2014.
سنة النشر: 2014
مصطلحات موضوعية: Religious studies, Theology, Psychology
الوصف: 한국 사회에서 나타나고 있는 높은 자살률의 문제는 치명적인 인간의 위기이다. 자살의 문제는 생명을 단절케 하고, 공동체의 삶을 뿌리째 뒤흔들 수 있을 정도로 악성적이다. 그러므로 이 문제의 극복은 한국인들이 행복한 삶을 영위하는데 있어서 절대적으로 필요한 과제이다. 인간다운 좋은 삶의 지향을 본질로 삼는 유교사상은 자살과 같은 치명적인 삶의 문제, 인간의 위기 문제에 대해 실제적으로 성찰함으로써 이의 해결을 적극적으로 도모해야 할 치유적 원리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유교의 본령은 현재 한국사회의 가장 심각한 문제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는 자살 문제에 대해서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교사상은 한국 사회의 자살 문제의 해소나 극복에 상당한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보는 입장에서, 그 정당화의 맥락을 분석하려고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먼저 우리 사회의 자살의 양상과 자살을 촉발시키는 근본적인 원인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자살 문제를 극복하는데 있어서 의미있는 유교의 대응 입장에 접근하는 토대적 논의로서, 죽음과 자살 문제에 대한 유교의 입장을 非意志的 죽음과 意志的 죽음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자살 문제의 극복에 기여할 수 있는 유교의 입장을 大同社會의 구현과 같은 유교적 도덕 복지사회의 실현, 仁의 실천을 통한 연대감의 강화, 가족 공동체의 가치를 중시하는 문화의 확산, 유교적 義의 실천으로 사회 正義 구현, 持敬과 省察같은 유교 수양론을 활용하는 것 등으로 제시했다. 유교를 활용하여 현대의 자살 문제와 같이 인간의 치명적인 위기를 해결하려는 노력은 유교의 가치를 강화하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만약 유교가 이러한 우리 사회의 긴박한 현실적 문제를 해결하는데 의미있는 기능을 발휘하지 못한다면 장차 유교는 과거의 사유와 문화로만 남게 될 것이다.
تدمد: 1226-7562
DOI: 10.15299/jk.2014.08.52.163
URL الوصول: https://explore.openaire.eu/search/publication?articleId=doi_________::e52dc8addcd7131f62e0a6fcc35f3450
https://doi.org/10.15299/jk.2014.08.52.163
رقم الانضمام: edsair.doi...........e52dc8addcd7131f62e0a6fcc35f3450
قاعدة البيانات: OpenAIRE
الوصف
تدمد:12267562
DOI:10.15299/jk.2014.08.52.163